본문 바로가기
비행시간(Flight time)과 조종시간(Pilot time)의 차이 오늘은 비행시간과 조종시간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학생조종사로 비행을 시작하면서 매회 비행이 끝나면 로그북에 그날의 비행시간, 이착륙 횟수 등을 기록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생이 로그북에 적는 시간을 습관적으로 비행시간이라고 말하고 이 부분을 명확하게 알려주는 경우가 부족한 것 같아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비행시간과 조종시간의 정의 비행시간과 조종시간의 정의는 운항기술기준 1.1.1.4 용어의 정의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가. "승무시간(Flight time)"이라 함은 비행기의 경우 이륙을 목적으로 최초 움직이기 시작한 때부터 비행이 종료되어 최종적으로 비행기가 정지한때까지의 총 시간을 말한다. ✔ Flight time은 Block to Block 또는 Chock to Chock로도 정.. 2022. 12. 5.
항공기 Icing의 종류 및 각각의 특성 4계절이 있는 우리나라는 겨울에 비행을 할때 icing에 대해서 특히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icing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우리가 비행을 하면서 icing과 조우했을 때, 또는 비행 전 icing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icing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cing이란 무엇인가? 사전을 찾아보면 착빙이란 뜻으로 나옵니다. 즉 항공기의 날개 또는 프로펠러 등에 수분이 얼어서 얼음이 형성되는 것으로 항공사고의 사례에도 자주 나옵니다. 항공기의 공기흐름을 분리시켜 양력이 감소하고 항력이 증가하여 심각한 경우에는 조종불능, 실속 등에 빠질수 있습니다. 겨울철 비행 전에 prefight 절차를 수행하면서 발견할 수도 있고 비행중에 조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icing도 종류가 다양한데 각.. 2022. 6. 24.
항공기의 종류/등급/형식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항공기는 종류, 등급, 형식에 따라서 구분이 됩니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81조 1. 국토교통부장관은 법 제37조 제1항 제1호에 따라 항공기의 종류, 등급, 또는 형식을 한정하는 경우에는 자격증명을 받으려는 사람이 실기시험에 사용하는 항공기의 종류, 등급 또는 형식으로 한정하여야 한다. 2. 제1항에 따라 한정하는 항공기의 종류는 비행기, 헬리콥터, 비행선, 활공기 및 항공우주선으로 구분한다. 3. 제1항에 따라 한정하는 항공기의 등급은 다음 각 호와 같이 구분한다. 다만, 황공기의 경우에는 상급(활공기가 특수 또는 상급 활공기인 경우) 및 중급(활공기가 중급 또는 초급 활공기인 경우)으로 구분한다. 1) 육상 항공기의 경우 : 육상단발 및 육상다발 2) 수상 항공기의 경우 : 수상단발 및 수상다발.. 2020. 1. 6.
항공신체검사 증명서의 종류 이전 포스팅에서 조종사가 소지해야할 서류 중 항공신체검사 증명서가 있다라고 설명하였습니다. 항공신체검사의 종류 및 유효기간 우선 항공신체검사는 항공종사자의 자격증명에 따라서 요구하는 신체검사등급이 있고 유효기간은 나이에 따라서 구분이 되는 항공종사자도 있고 그렇지 않은 항공종사자도 있습니다. 항공안전법 시행규칙 제 92조(항공신체검사증명의 기준 및 유효기간 등) 별표 9에 명시가 되어있습니다. 1. 운송용 조종사, 사업용 조종사(활공기 조종사는 제외), 부조종사는 제1종의 항공신체검사 등급을 받아야 합니다. 유효기간은 한번 받았을 시 해당 일을 기준으로 12개월 말일까지 입니다.(예를 들어 2020년 1월 3일에 신체검사를 받았을 경우는 12개월 후인 2021년 1월 3일까지가 아니고 2021년 1월 3.. 2020. 1. 3.
자가용조종사와 사업용조종사의 업무범위는 무엇인가 여러분이 처음 취득하게 될 자가용조종사와 사업용조종사가 할 수 있는 업무범위는 어디까지인지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자가용조종사 업무제한(Private Pilot with Balloon Rating : Limitatons) 항공안전법 36조 1항 별표에 고정익을 위한 운항기술기준을 살펴봅시다. ✔ 자가용 조종사는 다음 각 호 1의 항공기 필요승무원으로써 행위를 할 수 없다. 1. 보수를 받거나 고용이 되어 있는 승객 또는 화물을 수송 2. 보수를 받거나 고용이 되어 운항 * 즉 자가용조종사만 취득한 경우에는 보수를 받거나 고용을 목적으로 한 어떠한 비행 행위도 할 수 없습니다. 국내는 거의 전무하지만 미국같은 경우에는 자가용조종사를 취득하고 개인차량처럼 본인의 이동을 위한 목적으로 비행기를 이용하는 경우.. 2020.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