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light theory/PPL_CPL

항공기 Icing의 종류 및 각각의 특성

by Study flight 2022. 6. 24.

4계절이 있는 우리나라는 겨울에 비행을 할때 icing에 대해서 특히 잘 알고 있어야 합니다. icing의 특성을 잘 파악해야 우리가 비행을 하면서 icing과 조우했을 때, 또는 비행 전 icing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icing의 종류와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Icing이란 무엇인가?

  • 사전을 찾아보면 착빙이란 뜻으로 나옵니다. 즉 항공기의 날개 또는 프로펠러 등에 수분이 얼어서 얼음이 형성되는 것으로 항공사고의 사례에도 자주 나옵니다. 항공기의 공기흐름을 분리시켜 양력이 감소하고 항력이 증가하여 심각한 경우에는 조종불능, 실속 등에 빠질수 있습니다.
  • 겨울철 비행 전에 prefight 절차를 수행하면서 발견할 수도 있고 비행중에 조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 icing도 종류가 다양한데 각각의 특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Icing의 종류

  • Clear ice는 맑은 착빙이라하며 커다란 물방울이 비행기 표면에 천천히 얼어붙게 되면서 생성이 됩니다. 투명한 상태의 얼음을 생각하면됩니다. 어는 과정에서 기포가 모두 빠져나가기 때문에 밀도도 상당히 높아 매우 단단하고 비행 중 조종사가 육안으로 확인이 어렵습니다. 주로 적운형 구름에서 어는비를 만났을 때 발생을 합니다. 제거가 상당히 어렵기 때문에 착빙의 종류 중 가장 위험합니다.
  • Rime ice는 거친착빙이라하며 맑은 착빙과는 다르게 작은 물방울이 순식간에 얼면서 발생됩니다. 급속도로 얼어버리기 때문에 밀도가 높지 않고 불균형한 형태를 띄면서 구멍도 많이 발생합니다. 주로 기온이 -15도에서 -20도 사이에 발생하고 층운형 구름에서 발생합니다.
  • Mixed Ice는 혼합착빙이라고 불립니다. 위에 두가지 착빙이 섞여있는 상태로 주로 -10~15도 사이에서 발생합니다. 혼합착빙은 적운형구름, 층운형구름 모두에서 나타납니다. 특히 맑은 착빙의 성질도 있기 때문에 제거가 쉽지 않습니다.

 

 

Icing을 피하는 방법

  • 비행전 브리핑을 확실하게 하여 기상상황 판단을 하여 Icing이 예측이 된다면 비행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
  • 브리핑을 하고 기상예보를 확인했을 때는 icing이 없었지만 pre flight을 하려 보니 날개에 서리 형태의 icing이 발견된다면 반드시 제거해야합니다.
  • 특히 겨울철 비행 중 구름 속에 들어간다면 착빙을 조우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습니다. anti icing 또는 de icing 장비가 있는 항공기더라도 이는 항상 예비로 사용하는 개념이지 위 장비들이 있으니 icing condition에도 무리없이 운항해도 된다고 생각하면 안됩니다.

댓글